전후 유럽 1편

전후 유럽 1편

전쟁의 유산
독일과 소련 중심부를 제외하면 제2차 세계 대전에 말려든 유럽 대륙의 국가들은 전부 최소한 두 번씩, 처음에는 소련군에, 그다음에는 해방군에 점령당했다. 이 과정에서 옛 사회적-경제적 엘리트들의 숙청이 아마도 가장 극적인 변화였을 것이다. 유대인의 절멸, 현지 부르주아의 중요한 일부였던 독일인의 추방으로 사회적 풍경이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중부 유럽과 동유럽의 원주민들이 추방당한 소수 민족의 자리를 꿰차는 과정은 히틀러가 유럽의 사회사에 기여한 것 중에서 가장 지속적인 영향력을 지녔다. 그리고 이는 소련의 계획에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럽의 유대인들은 돈과 물건, 재산권을 빼앗겼고, 이 재산은 나치와 부역자들, 지역 사회가 약탈하고 훔쳐 갔다. 1945년에 파리나 프라하로 돌아온 강제수용소 생존자들은 지역 사회가 자신들의 집을 점거하고 있는 것을 보았고, 그들은 떠나기를 거부했다. 이런 식으로 수십만 명의 평범한 헝가리인, 폴란드인, 체코인, 네덜란드인, 프랑스인 등이 수혜자로서 나치의 종족 학살에서 공범이 되었다.
보복
독일군에 대한 물자 공급 등을 지원했던 소규모 사업가와 은행가, 관리들은 도처에서 계속 그 자리에 남았고, 점령 정권의 계승자인 민주주의 체제를 위해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여 연속성과 안정을 제공했다. 1945년의 파괴와 도덕적 붕괴는 엄청났기에,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은 무엇이든 필요한 벽돌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경제적 숙청은 생산을 저해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큰 손해를 입힐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때문에 지불한 대가는 정치적 냉소주의와 해방에 대한 환상과 희망의 소멸이었다.
전범 재판은 독일의 연합군 점령 지구 전역에서 계속되었다. 연합국의 독일인 전범자 처벌에는 두 가지 필연적인 결점이 있었다. 소련을 나치 재판의 판사석에, 때때로 소련 스스로 저지른 범죄를 다루는 재판의 판사석에 앉히는 것은 재판의 가치를 떨어뜨렸으며, 승자의 재판으로만 보이게 했다. 두번째 결점은 히틀러를 비롯한 나치 지도부의 죄과를 면밀하게 밝힘으로써 많은 독일인들이 나머지 국민은 무죄이며 나치즘을 거역하지 못한 희생자였다고 믿게 된 것이다.
유럽의 부흥
히틀러가 패배한 이후 급격한 변화를 가로막은 주된 장애물은 파시스트가 아니었다. 그들은 독재자와 함께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주된 장애물은 본국으로 돌아온 망명 정부였다. 망명 정부는 본국의 저항 조직을 동맹자가 아니라 골칫거리로 여겼다. 또한 저항 단체들도 망명 정부, 관료, 공무원에게 의혹을 갖고 있었다. 이들은 전쟁 이전에 잘못을 저지른 데다 전쟁이 발발한 후에는 나라를 떠나 있었기에 이중으로 믿을 수 없었다.
점령군은 질서 있는 이행을 고집했고 저항 운동 단체는 무기를 반납하고 조직을 해산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종전 직후 대다수 유럽인들을 통치한 것은 저항 투사들의 우애 공동체가 아니라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동맹이었다. 기존의 좌파 정당들은 전시 저항 운동에 참여했다는 사실로부터 엄청나게 많은 것을 얻었다. 그러므로 전후 유럽 정부들의 개혁 정책이 1930년대의 미완의 사업을 되풀이하고 반복했다는 사실은 그다지 이상하지 않았다. (1930년대 인민 전선)
두 대전 사이의 재앙, 대공황, 실업, 독재 등 모든 것이 사회를 보다 좋게 계획적으로 조작하는 데 완전히 실패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처럼 보였다. 계획이 필요했다. 프랑스와 독일에선 국가적 계획에 관한 여러 제안들이 경쟁적으로 널리 유포되었는데, 국가가 경제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계획은 국가에 대한 믿음, 오직 국가만이 개인과 궁핍 사이에 끼어들 수 있다는 인식을 반영했다.
초보적인 복지 제공은 1945년 전에도 이미 널리 확산되었다. 그러나 포괄적인 복지제도 - 모든 시민에게 일정한 서비스를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인식은 아직 어디에도 없었다. 이 모든 상황을 바꾼 것은 전쟁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미망인, 고아, 병약자, 실업자를 위한 입법과 사회 복지를 촉진했듯이, 제2차 세계 대전은 식량 공급과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개선했다. 사람들을 총력전에 동원하려면 그들의 상태에 관해 더 많이 알아내고 그들의 생산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 해야 했다.
복지 국가가 등장한 덕에 유럽인들은 더 많이 먹고 더 오래 더 건강히 살았고 더 좋은 집에 거주했으며 더 좋은 옷을 입었다. 대부분의 유럽인들이 공공 서비스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거의 언제나 전후 국가들이 제공했던 보험이나 연금 제도의 안전망을 우선 거론했던 것이 우연은 아니다.
전후 임시 의회나 제헌 의회는 대체로 좌파에 치우쳤지만 서유럽에서 결정권을 쥔 것은 언제나 정치권에 새로이 출현한 기독교 민주당이었고, 대체로 그들이 지배했다. 사회당과 공산당의 어법은 폭동의 논조를 쉽게 버리지 못했던 반면, 프랑스의 모리스 쉬망조르주 비도, 이탈리아의 알치데 데가스페리, 독일 연방 공화국의 콘라트 아데나워 같은 저명한 기독교 민주당원들은 언제나 화해와 안정을 강조했다.
두 대전 사이에는 새로운 것과 현대적인 것이 유행했다. 많은 사람이 의회와 민주주의를 정체되었으며 타락했다고 보았다. 전쟁과 점령은 이러한 환상을 깨뜨려 버렸다. 입헌 민주주의라는 흐릿한 타협안에는 새로운 매력이 있었던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정치화와 과격화라는 효과를 가져왔다면, 뒤이은 제2차 세계 대전은 반대의 결과, 즉 정상 상태를 바라는 동경을 낳았다.
브레턴우즈 협정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처럼 유럽에 다시 경제 위기가 오는 것을 막고자, 경제학자들과 정치인들은 케인스의 인도를 받아 국제 금융 체제의 대안을 모색했다. 금본위제보다는 약간 덜 엄격하고 통화 수축 효과도 덜해야 했지만, 변동 환율 제도보다는 더 믿을 만하고 서로를 더 잘 유지하는 것이어야 했다. 이것이 브레턴우즈 합의의 본질이다. 국제 통화 기금이 미국 돈으로 설립되었다.
도움이 되었나요?